전체 글(18)
-
[Python] mac에서 환경변수 설정하기 + 파이썬 파일 실행하기
지난 번에 파이썬을 다운받아 mac에 설치를 진행하였다. 그런데, 매번 파이썬을 사용할 때 마다 명령어로 python3 라고 매번 입력하기가 상당히 번거로웠다. 고작 한 글자 차이인데 말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mac에서 환경 변수를 설정하여 내가 원하는 명령어로 원하는 기능을 다루는 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로 나는 macOS에서 기본 쉘인 zsh를 사용하니, 이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zsh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면, mac에서 '터미널'을 띄웠을 때 뜨는 그 터미널 창이 zsh터미널이다. (예전 버전은 bash라고 한다.) 환경변수란? 우선 프로그로밍에서 '변수'란 '특정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정도로 이해하면 편하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우리는 윈도우, mac등의 OS상의 환경에서..
2023.01.01 -
[Python] mac에서 brew없이 Python3 설치하기
평소에는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했는데, macOS를 사용할 일이 생겼다. 아마 앞으로도 자주 사용할 것 같아서 여기에도 제대로 된 개발 환경을 세팅 하려고 한다. 물론 mac전용 패키지 관리용 tool인 brew(https://brew.sh/index_ko)가 설치되어 있다면 명령어 한 줄 이면 설치를 완료할 수 있지만, python은 개발을 전문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접하기 쉬운 언어니까 굳이 brew까지 설치하지 않으려는 사람도 있을 것 같아 python만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참고로, brew로 python을 설치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알아서 설치해 준다. brew install python3 개발을 본격적으로 하고자 하는 사람 + mac 사용자라면 무조건 brew는 설치하자. 공..
2022.12.30 -
[Python] 파이썬 빠르게 반복 입력 받기 (sys.stdin.readline)
일반적으로 파이썬을 통해 입력을 받을 때에는 파이썬 내장 함수인 input()을 통해 입력을 받지만,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 보면 이걸 사용했을 때 속도가 너무 느려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 이때 sys모듈의 stdin을 활용하면 더 빠르게 input을 받을 수 있다. 근데 둘이 어떤 차이가 있어서 이렇게까지 차이가 나는지 한번 찾아봤다. input() VS sys.stdin모듈 input() 파이썬의 내장함수로, 파이썬에서 입력을 받는데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함수이다. 물론, 이건 그냥 내가 설명하는 말이고, 파이썬3의 공식문서에 나와있는 설명은 이렇다. If the prompt argument is present, it is written to standard output without a trailing..
2022.12.25 -
[Flutter] Flutter로 내부 저장소 사용하기
사용 라이브러리 - shared_preferences https://pub.dev/packages/shared_preferences flutter pub add shared_preferences 사용 방법 1. 객체를 생성한다 2. 생성된 객체의 자료형에 맞는 key값과 value값을 설정한다. 3. key값의 호출을 통해 미리 저장한 값을 불러온다. (존재하지 않는 키의 경우, null이 반환) ferences 객체 생성 값 쓰기 값 불러오기 삭제하기 주의점 존재하지 않는 키의 경우, null 값이 반환되므로 ?를 붙여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쓰기는 비동기로 처리된다. 마이무브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걸음 수 측정, 자동 로그인 등을 구현하는데에 사용한 라이브러리다. 수업에서 비동기로 동작하는 코드, 회..
2022.12.24 -
JWT토큰 인증
인증과 인가의 차이 인증 (Authentication) →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를 통해 인증받음) → 특정 서비스에 일정 권한이 주어진 사용자임을 인증받는 것 인가 (Authorization) → 로그인이 유지되고 있는 중에 하는 허가 → 한 반 인증받은 사용자가 이후 서비스의 여러 기능들을 사용할 때 허가해주는 것인증 vs 인가 → JWT 토큰 인증은 인가에 속하는 방식 (Authorization에 관련된 기술) 왜 매번 로그인을 하면 안되는가? → 쿠키 등에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저장해 놓고, 매 요청마다 로그인을 하면 안되는 것인가? → ‘로그인’ 작업은 리소스가 많이 드는 행위 → 사용자의 암호를 알고리즘으로 계산하여 DB에 저장된 정보와 대조하는 작업등의 과정이 어려움 + 보안상의 ..
2022.12.24 -
첫 글
블로그의 개설 목적은 1. 학교에서 지금까지 배웠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2. 창업 활동을 하며 내가 알게 된 개발 지식을 정리하고 3. 앞으로 내가 공부하며 습득한 것들을 정리해서 4. 최종적으로, 한 번 알게 된 것은 언제든 다시 꺼내어 쓸 수 있도록 내 것으로 만든다. 앞으로 열심히 해봐야지 문제풀이 깃허브: https://github.com/Aksaka/ProblemSolve
2022.12.24